경영 이야기/수지 노트

[스크랩] 수지노트 1

행우니* 2012. 1. 11. 16:21

1.수지요법의 유래


'손은 인체의 축소판'이라는 원리에서 출발한 수지요법.

수지침은 손바닥의 3백 45개의 치료점을 활용해 인체의 질병을 치료하며 특히 의료인이 아닌 사람도 누구나 손쉽게 이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이러한 수지요법은 1971년 유태우(고려수지요법학회 회장)씨에 의해 처음 창안됐다. 처음에는 고려수지침으로 명명되었으나 이것을 더욱 발전시켜 서암봉, 서암뜸, 전자빔 등 여러가지 자극기구들을 개발해 내게 되어 이를 총칭하여 '수지요법'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 손은 인체의 축소판이다.

인체에 질병이 있으면 손과 연결된 부위에서 압통점이 생긴다.
이처럼 손에서 아픈 곳을 찾아 침, 뜸, 서암봉등 여러 가지 수지침기구를 통해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손 부위에서 상응요법, 5지의 진단과 자극, 그리고 14기맥과 345개의 중요한 자극점에 약한자극을 주어 모든 질환을 예방하고 관리하며 인체의 기능을 조절시키는 방법을 말한다.

수지침요법은 손 부위에만 약한 자극을 주기 때문에 배우기 쉽고 응용하기 편리하여 가족의 건강을 지킬 수 있는 새시대의 미래 지향적인 가정요법이다.

수지침 요법은 미국을 비롯하여 유럽의 독일, 오스트리아. 스페인 등지에도 수지침이 적극적으로 보급되어 일본어판 영어판, 독일어판, 프랑스어판, 러시아어판, 스페인어판 까지 출간되었다.
또한 침구의 본고장이라 할 수 있는 중국에도 보급되어 중국 침구학 용어사전에 까지도 등재된 실정이며, 대만을 비롯한 동남아와 아프리카, 그리고 남아메리카의 브라질 ,칠레, 베네수엘라 ,아르헨티나와 북아메리카의 미국,캐나다 등지에도 널리 보급되었으며 이제는 전세계적으로 알려져 우리 나라의 독창적인 의술로 그 위상이 정립되었다.

"1971년 8월 어느날 한밤중에 잠을 자는데 갑자기 오른쪽 귀 뒷쪽에 강렬한 통증이 느껴져 잠을 깬 적이 있었습니다.
제가 원래 침술을 하던 사람이라 혈을 찾아서 여기 저기 침을 놓았지만 허사였어요.

그러다가 가운데 손가락을 눌러보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볼펜 끝으로 눌러보니 몹시 아픈 자리가 있었죠.
그런데 그렇게 하고 얼마 후 아팠던 머리가 감쪽 같이 나앗습니다.
그 순간 몸의 작자가 증상과 손이 어떤 관계가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유태우 회장의 연구는 그날부터 본격화 되었고 마침내 '수지 부위는 치료적으로 3대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이론으로 정립시킬 수 있었다.

첫째, 손은 인체의 축소판이다.

둘째, 오지는 오장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셋째, 손에는 내장의 기능을 조절하는 14개의 기맥이 있다.

이중에서도 초보자들이 가장 손쉽게 그 원리를 배워 응용할 수 있다는 것이
첫번째 원리는 상응요법이다.



2. 상응요법


1]. 도입

수지침의 첫번째 이론인 "손은 인체의 축소판이다"라는 원리를 이용하여 나오게 된 것이 상응요법이라는 이론이다.
이는 초보자도 쉽게 이용할 수 있고, 어디에서나 쉽고 간단하게 이용하여 통증을 해소 시킬 수 있다는 점이 큰 매력이다.
그러면 그 내용을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자.


2] 상응배당

상응요법은 말 그대로 인체의 모든 부분이 손의 해당부위에 상응된다는 말이다.
그렇기에 인체의 한 곳이 아프면 손에서 그에 상응하는 부위를 찾아 자극을 가해 줌으로서 고통을 해소하는 방법이다.

손바닥쪽은 인체의 앞면에 해당하고, 손등쪽은 인체의 뒷면에 해당한다.
그리고 1지와 5지는 다리에 해당하고, 2지와 4지는 팔에 해당하며 가운데 손가락은 몸통에 해당하며, 손바닥은 인체의 복부에 해당한다.

먼저 손가락을 사펴보도록 하자.
각 손가락에는 마디가 세마디가 있는데, 그 마디 마디는 인체의 각 관절과 상응한다.
5지와 1지에서 손가락 끝마디(손톱쪽)는 발목에 해당하고, 두번째 마디는 무릎, 세번째 마디는 고관절에 해당한다.
4지와 2지에서 끝마디는 손목에 해당하고, 두번째 마디는 팔꿈치에 해당하며, 세번째 마디는 견관절에 해당한다.
가운데 손가락을 보면 이 또한 세마디로 구분되어 있는데, 첫째마디(손톱쪽)는 턱밑에 해당하고, 두번째 마디는 목이 끝나는 부분에 해당하며, 세번째 마디는 명치부분에 해당한다.
가운데 손가락의 손등쪽 첫째마디는 제 1경추(목이 시작되는 부분)에 해당하고 두번째 마디는 제 7경추(고개를 앞으로 숙였을 때 가장 많이 튀어나온 척추뼈)에 해당하며 세번째 마디는 제 12흉추(양쪽 견갑골이 끝나는 부분을 일직선으로 그었을 때 만나는 척추뼈)에 해당한다


▶ 상응도와 상응요법 - (내컴퓨터-C-마이 도큐먼트 참조)

손은 인체의 축소판으로 손바닥은 몸의 전면 복부이고 손등은 후 면 배부에 해당된다.
중지는 몸의 중심이 되는 머리이며 제2지.4지 는 팔, 제1지와 5지는 다리에 해당되며 한 손이 몸 하나가 된다.
우측에 병이 있으면 오른손 3.4.5지에 자극을 주고 좌측의 병은 왼손 3.4.5지에 자극을 준다.
또 중심부위의 질병은 왼손 오른손의 중지를 동시에 사용한다.

인체의 내장에 질병이 발생되면 유기적인 반사계를 따라 체표면에 나타나고 손에서도 똑같은 부위에 강한 압통점이 나타난다.
이 반응 이 나타나는 곳을 상응점 또는 과민 압통점이라고 하며 몸의 병체에 자극을 주는 것보다 손의 반응점에 약한 자극을 주는 것이 안전하며 효과가 빠르고 병체의 통증이 해소된다.

가벼운 병은 즉효가 나타나지만 만성질환은 장기간 자극을 주는 것이 중요하다.

◈ 수장과 내장과의 비교 - (앞의 그림에서 참조)

◈ 좌우측 상응도의 비교 - 인체의 내장에 질병이 발생되면 유기적인 반사계를 따라 체표면에 나타나고 손에서도 똑같은 부위에 강한 압통점이 나타난다.
이 반응 이 나타나는 곳을 상응점 또는 과민 압통점이라고 하며 몸의 병체에 자극을 주는 것보다 손의 반응점에 약한 자극을 주는 것이 안전하며 효과가 빠르고 병체의 통증이 해소된다.
가벼운 병은 즉효가 나타나지만 만성질환은 장기간 자극을 주는 것이 중요하다.

◈ 상응요법 처방
상응요법은 해당부위(상응점)에서 반응점(과민반응점)을 찾아야 한다.
볼펜 끝이나 압진기로 꼭꼭 눌러서 예민한 반응점을 찾아서 볼펜으로 표시해 두고 수지침을 5-6개 놓는다.
부위가 넓으면 수지침을 10-15개 놓는다.
침을 뺀다음 서암봉을 붙여놓거나 알루미늄 호일을 은단만하게 뭉쳐서 붙여 놓으면 통증이 경감된다.
부위가 넓으면 콩알만하게 뭉쳐서 붙여준다.
통증이 심하거나 오래된 부위의 질병은 서암뜸을 떠준다.
볼펜끝이나 손톱으로 눌러 주어도 효과가 있다.
알루미늄은박지를 은단처럼 둥글게 뭉쳐서 반창고를 붙여도 된다.
예를 들어 후두통의 경우 중지 후면이 후두부에 해당되므로 볼펜끝으로 상응점을 찾아서 알루미늄봉을 붙인다.
이 상응요법은 급성질환에 효과적이다.

◈ 두면 ◈ 흉,복부. 배부 ◈ 등 ◈ 팔목부분


3. 오지요법(五指療法)


氣脈療法은 만성질환, 고질적인 질병, 신경성질환 등에 체질에 따라서
수지침이나 전자빔을 이용하여 오장육부인체의 모든 기능을 지배하고 조정하는 것은 뇌(腦)인데 이 손은 몸 밖에 나와 있는 뇌라고 할 만큼 사람의 전신신경(全身神經)과 연 결되어있고 인체의 모든 기관이 손에 축소되어 있다.

중지는 두부에 해당되고, 2지와 4지는 양팔에 해당되고, 엄지와 5 지는 다리가 되는데 오장(五臟)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즉 엄지는 간(肝), 2지는 심장(心臟), 중지는 비,췌장(脾,膵臟), 4지는 폐(肺)와 기관지, 5지는 신장(腎臟)으로 여성들의 자궁도 포함되고 있다.

엄지 손가락이 굽었거나 손톱에 줄무늬,점,색깔에 이상이 있으면 간의 기능이 나쁘고 소화가 안되고 불면증이 오는 경우도 있다.
이 때 엄지 손가락에 은반지를 끼거나 은박지를 골무처럼 만들어 씌우 고 자면 위의 증상이 해소되고 간의 기능이 좋아진다.
성격이 급하 여 참을성이 없고 화를 잘내고 갑자기 눈꺼풀이나 입술이 떨릴 때도 효과가 있다.

2지는 심장에 해당되며 가슴이 두근거리거나 얼굴에 열이 오를 때, 더위를 탈 때 은반지를 끼거나 은박지 골무를 씌워준다.
특히 등산을 할 때와 시험을 칠 때 끼면 가슴이 뛰는 것이 진정이 된다.

3지는 머리와 경항부(頸項部) 가슴과 등 부위가 되지만 오지요법 (五指療法)에서는 비장(脾臟)에 해당된다.
식욕이 왕성하여 살이 많이 찌고, 잠이 많으면 비실(脾實)이므로 은반지를 끼면 비,췌장의 기능 이 저하되어 비만방지와 성인병이 예방되며 머리가 맑아진다.
허약 체질 즉 식욕이 없거나 소화가 안되고 깡마른 체질, 빈뇨등이 있는 사람은 비허(脾虛)가 되므로 중지에 금반지를 끼면 비,췌장의 기능이 상승되어 식욕이 나고 빈혈증상이 해소된다.

넷째손가락이 휘었거나 상처가 있을 때, 폐와 기관지에 문제가 올 수 있으므로 미리 은반지를 항상 끼는 것이 좋은데 금반지를 껴야되 는 체질도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재미있는 것은 새끼손가락이 태어날 때부터 굽었거나 짧은 사람은 신장의 기능이 나빠져 소화가 잘 안되고 인후.편도선염이나 두통,빈 뇨 또는 부인과 질환등의 증상이 나타나는데 좌우 새끼손가락에 항 상 은반지를 끼고, 은박지를 자기전에 골무처럼 씌워준다.

* 반지요법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각자의 체질에 맞게 반지를 끼는 것이다.

체질에 맞게 반지를 끼면 건강에 도움이 되지만 체질 에 맞지 않게 끼우면 오히려 질병이 악화된다. -- < 강조하니, 한번 더 읽으시길...>

즉 금반지는 해당 장 부의 기능을 보(補)해 주고, 은반지는 기능을 저하시키는 효과가 있 음에 유의해야 한다.
전문가에게 자신의 체질을 감별해서 끼는 것도 좋다.
이때 반지는 조금 넓은 것이 좋고 항상 껴야만 효과가 확실하다.


4. 기맥요법


氣脈療法은 만성질환, 고질적인 질병, 신경성질환 등에 체질에 따라서 수지침이나 전자빔을 이용하여 오장육부의 기능을 조절하여 체 질을 개선하는 전문적인 治療法이다.

인체는 눈으로 볼 수 있는 기관이 있고(물질적인 요소), 눈에 보이지 는 않으나 그 기능만 있는 경락(經絡)이 있다.(神氣的인 要素)
우리는 흔히 기에 관한 用語를 많이 인용한다.
즉 기분이 나쁘다, 좋다, 기가 찬다, 기가 막힌다, 기를 쓴다, 기진맥진했다, 기절하겠다 등이다.

인체는 기가 전신으로 흐르면서 신체의 각 기관으로 혈 (血)을 공급해 주어야 신진대사가 이루어지고 생명 유지가 가능하다.
경락은 기의 순환 통로로써 우리의 몸을 빈틈없이 둘러싸고 오장육부 (五臟六腑)와 연결되어 있으면서 복부(오장육부)에서 만들어진 기혈을 전신으로 공급하는데 기가 잘 흐르면 기분이 좋고 건강하며 과다하게 흐르면(實) 열이 나고 흥분하며 통증과 경련이 일어나고 염증성, 궤양성 질환이 발생되며, 적게 흐르면(虛:기 부족 증) 차갑고, 저리며 무력하고, 피로하며, 마비가 오고, 기가 일시적으로 정지하면 가사상태 (氣絶)가 되고 끊어지면 죽게된다.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의 80%가 신경성 질환자라는 통계가 말해 주듯이 기혈의 흐름의 이상으로 질병을 앓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 나 경락은 형체가 없으므로 초현대적인 진단기기(診斷機器)로도 검사에 나타나지 않는다.


◈ 경락은

기(氣)의 通路이며 일정한 방향으로 전신을 돌면서 혈(血)의 흐름을 主導하고 있다.
신체 각부 위에 영양을 공급하여 새로운 세포의 生成과 死滅을 支配한다.

우리의 몸을 따뜻하게 하며 보호하고, 면역기능을 강화시켜 질병을 예방한다.
無形의 통로이나 모든 병의 허실(虛實)을 조절하고 百病을 치료하며 生死를 능히 결정짓는다 라고 하였다.
이 경락은 신체의 어느 부위에나 연결되어 있으며 특히 손 부위에 는 전체 경락이 축소되어 신체 각 부위와 연결되어 있어서 손에서 오장육부의 기능과 각 부위의 이상을 조절할 수 있다.
이것을 『기 맥』이라고 한다.

◈ 기맥의 종류(임독맥 포함 14개) - ( 수장혈도 수배혈도 참조)

A.임기맥 B.독기맥 C.폐기맥 D.대장기맥 E.위기맥 F.비기맥 G.심기맥
H.소장기맥 I.방광기맥 J.신기맥 K.심포 기맥 L.삼초기맥 M.담기맥 N.간기맥

◈ 기맥의 특징

* 오장육부와 연결되어 있어서 내장의 기능을 자유자재로 조절한다.
* 부분적으로 일어나는 통증에는 그 부위가 어느 경락인가를 찾아 해당기맥에 자극을 준다.
* 손 부위의 기맥은 정교하고 예민하여 약자 극으로도 속효적이다.
* 부작용이 없다.



** [십이 명혈]

간 : N5, 심: G11, 심포: K10, 비: F5, 폐: C9, 신: J3, 담: M30
소장: H3, 삼초: K10, 위: E42, 대장: D3, 방광: I37


** [십이 기정혈].

폐(C13) : 폐의 급성질환, 기침, 기관지염, 흉통, 인후염등에 이용
대장(D1) : 대장의 급성질환, 체증, 장통, 뱃살이 땅길 때,초기 감기등에 이용
위(E45) :급성 소화불량, 체증, 위질환, 위열, 유방질환, 두통, 눈질환, 복통 등에 이용
비(F1) : 복통, 발바닥이 아플 때. 체증, 위장질환
심(G15) :심통, 흉통, 심계 항진, 두통, 두현, 정신혼미
소장(H1) :소복통, 자궁통증, 항강증, 목의 류머티즘
방광(I39) : 방광통증, 소변이상, 후두통, 요통
신(J1) : 신장통증, 요통, 소변이상, 인후염증, 인사불성, 혀질환
심포(K15) : G15와 대동소이
삼초(L1) : H1과 대동소이
담(M32) : 편두통,담통, 옆구리와 담이 결리는데
간(N1) :간장통증, 위질환, 심장질환, 신경과민, 눈질환



** [ 오수혈 ]- 이는 수징요법에서 매우 중요한 혈이므로....

* 정혈 : 맥기가 처음으로 일어나는 곳
* 형혈 : 맥기가 처음으로 번성하는 곳
* 유혈 : 맥기를 받아들이는 곳
* 경혈 : 맥기가 장부로 들어가는 곳
* 합할 : 맥기가 장부로 들어가 합하는 곳


** 참고: 수지혈은 전부가 345개의 혈이지만 좌우수 모두 합하면 1260개의 혈이 되고 있다.

** 팔성혈.




5. 오행배당표 (오행색체표)



木 火(君火.相火) 土 金 水
①육장(六臟)
간 (肝) 심(心)심포 비 (脾) 폐 (肺) 신 (腎)
②육부(六腑)
담 (膽) 소장삼초 위장(胃腸) 대장(大腸) 방광(膀胱)
③오체(五體)
근 (筋) 혈(血) 육 (肉) 피 (皮) 골 (骨)
④오규(五竅)
눈 (目) 혀(舌) 입 (口) 코 (鼻) 귀 (耳)
⑤오지(五志)
화냄 (怒) 기쁨(喜) 생각(思) 근심(憂) 불안(恐)

⑥오미(五味)
신맛 (酸) 쓴맛(苦) 단맛(甘) 매운맛(辛) 짠맛(鹹)
⑦오영(五榮)
손톱 (爪) 색깔(色) 입술(脣) 솜털(毛) 머리털(髮)
⑧오색(五色)
청 (靑) 적(赤) 황 (黃) 백 (白) 흑 (黑)
⑨오성(五聲)
부르짖음(呼) 웃음(笑) 노래(歌) 슬픔(哭) 신음(呻)
⑩오음(五音)
각 (角) 치(치) 궁 (宮) 상 (商) 우 (羽)
①오기(五氣)
풍 (風) 열(熱) 습 (濕) 조 (燥) 한 (寒)
②오시(五時)
봄 (春) 여름(夏) 장하(長夏) 가을(秋) 겨울(冬)
③병재(病在)
근 (筋) 오장 (五臟) 혀(舌本) 어깨(肩) 뼈사이(谿)
④오축(五畜)
닭 (鷄) 양(羊) 소 (牛) 말 (馬) 돼지(豚)
⑤오곡(五穀)
보리 (麥) 기장(黍) 피 (稷) 벼 (稻) 콩 (豆)
⑥오수(五數)
3.8 2. 7 5.10 4.9 1.6
⑦오취(五臭)
누린내(燥) 불내(焦) 냄새(香) 비린내(腥) 썩은내(腐)
⑧오액(五液)
눈물 (泣) 땀(汗) 침 (涎) 콧물(梯) 침뱉음(唾)
⑨변동(變動)
근육경련(握) 근심(憂) 구토(훼) 기침(해) 떨다(慄)
⑩천간(天干)
갑을(甲乙) 병정 (丙丁) 무기(戊己) 경신(庚辛) 임계(壬癸)
①지지(地支)
인묘(寅卯) 사오(巳午) 진술축미 신유(申酉) 해자(亥子)
②방향(方向)
동쪽 (東) 남쪽(南) 중앙(中央) 서쪽(西) 북쪽(北)
③오상(五常)
인 (仁) 예(禮) 신 (信) 의 (義) 지 (知)
④오정(五精)
혼 (魂) 신(神) 의지(意智) 백 (魄) 정지(精志)
⑤오역(五役)
색 (色) 냄새(臭) 맛 (味) 소리(聲) 액체(液)
⑥오과(五果)
오얏 (李) 살구(杏) 대추(棗) 복숭아(桃) 밤 (栗)
⑦오채(五菜)
부추 (舊)
염교 (해) 아욱(葵) 파 (蔥) 콩잎(藿)

출처 : 모발을 연구하는 사람들
글쓴이 : 김채연 ^&^* 원글보기
메모 :